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특례보금자리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
- 상속세
- 전입신고
- 양도세계산기
- 양도세
- 확정일자
- 기준금리
- 깡통전세전세금반환
- 전답매매
- 임차권등기명령뜻
- 일시적1가구2주택
- 역전세
- 부모급여
- 임차권등기란
- 깡통전세
- 상속세율
- 확정일자받는법
- 임차인등기명령
- 취득세
- LTV
- 임차권등기명령
- 농지매매
- 임차등기
- 임대인
- DTI
- 임대차등기명령
- 양도소득세
- DSR
- 임차권등기명령이란
- Today
- Total
목록깡통전세 (5)
미니별 정보리뷰

월세시장 흔드는 전셋값 폭락 아파트 전세 가격이 급락하면서 월세시장에 혼란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월세 가격은 전세 급락에도 최근까지 오름세를 보였으나 전셋값 하락세가 가팔라지자 월세 산정 기준인 전셋값이 내리는데 월세는 왜 안 내리냐는 세입자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역전월세난이 심각한 일부 단지는 내린 전셋값을 기준으로 임대차 계약이 이뤄지면서 대·소형, 고·저가 아파트 간 월세 역전 현상까지 일어나고 있습니다. 2월 21일 부동산 중개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서울 주요 아파트 단지 주변 공인중개업소에선 급락한 전셋값을 근거로 임대차 보증금과 월세를 낮추려는 세입자와 오른 금리를 들어 월세를 낮출 수 없다는 집주인 사이의 기싸움이 치열하다고 합니다. 서울 성동구 왕십리뉴타운 센트라스 전용면적 84㎡..

부동산 관련 용어정리(1)… 근저당권 선순위채권 깡통전세 확정일자 등 근저당권 설정, 질권 설정이란?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것을 저당권이라 하며, 동산을 담보로 설정하는 것이 질권이라고 합니다. 저당권 소유한 부동산을 담보로 하여 대출을 받을 때 설정하는 것, 보통 부동산에 저당권이 설정되었다고 표현합니다. 근저당권 저당권과 기본 개념은 동일하지만, 채권최고액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는 것입니다. 부동산 소유주가 대출금 중 일부를 상환하거나 이자기 연체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채권액은 감액되거나 증액됩니다. 그럴때마다 저당권을 다시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나온 것이 근저당권입니다. 실제 채권액(대출액)보다 약 20% 높은 금액을 채권최고액으로 설정해 두어 장래에 생길 수 있는 채권에 ..

임차권 등기명령 1만 건 돌파 최근 집주인과 세입자들의 전세금 분쟁이 급증하고 있다고 합니다. 금리 인상과 지난해 대비 매매 가격, 전세 가격 하락으로 인해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보증금을 찾기 위한 세입자들은 법원을 향했고, 법원이 내릴 임차권 등기명령이 처음으로 1만건을 넘어섰습니다. 임차권등기명령은 임대차계약이 만료된 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상태에서 이사해야 할 경우 이사를 가더라도 전세금을 받을 수 있도록 보호해 주는 제도입니다. 임차권등기명령이란 무엇일까? 임차권등기명령이란 무엇일까? 임차권등기명령제도란?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을 대항력의 취득 및 존속 요건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임차인이 임대차가 종료되었음에 minisworld.t..

내년 수도권 입주물량 18만 가구...! 내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이 올해와 비슷한 18만 가구 수준으로 예상되면서 전셋값 급락에 따른 부동산 시장 침체가 길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12월 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은 0.95% 하락했습니다. 2012년 5월 관련 통계에 집계한 이후 하락 폭이 가장 컸습니다. 10월 10일 이후 역대 하락 폭 기록도 8주 연속으로 경신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에 따른 전세자금대출 부담으로 전세 수요가 월세로 분산된 데다, 신규 아파트 전세물량 공급까지 이뤄진 것이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더욱이 높은 전셋값을 지렛대 삼아 갭투자(거주 목적이 아닌 전/월세를 끼고 매매)한 집주인들은 전셋값 하락의 직격탄을 맞고 ..

최악의 역전세난, 끝없이 올라가는 공급물량 역전세난이란? 주택 가격이 급락하면서 전세 시세가 계약 당시보다 하락해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돌려주는 것이 어려워진 상태를 말합니다. 또한, 신규 입주 물량의 증가로 전세 수요자가 줄어들면서 세입자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을 가리키기도 합니다. 이는 높은 전세가격 때문에 세입자가 전셋집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전세난'의 반대 개념입니다. 예를들어, 2년 전 세입자가 전세 보증금을 4억을 내고 들어왔는데, 2년 뒤 세입자가 집을 나갈 때 보증금 시세가 3억이 되면서 집주인이 기존 보증금을 돌려주기 어려워진 상황을 말합니다. 역전세난은 보통 부동산 시장 둔화 및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 신규 주택 공급 증가 등으로 주택 가격이 하락하고 세입자가 줄어들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