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임차권등기란
- 상속세
- 기준금리
- 확정일자받는법
- 깡통전세
- 상속세율
- 양도세
- 역전세
- 취득세
- DSR
- 임대인
- 전세보증금반환보증
- 임차권등기명령이란
- 임차등기
- 양도세계산기
- 임차인등기명령
- 확정일자
- 임대차등기명령
- 전답매매
- 특례보금자리론
- 임차권등기명령
- 깡통전세전세금반환
- 일시적1가구2주택
- DTI
- 양도소득세
- 전입신고
- 임차권등기명령뜻
- 부모급여
- 농지매매
- LTV
- Today
- Total
목록정보/부동산정보 (51)
미니별 정보리뷰

다주택자의 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 허용 다주택자 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 허용 기존 : 다주택자의 규제지역 내 주택구입목적 주택담보대출 취급 금지 개선 : 다주택자의 규제지역 내 주택구입목적 주택담보대출 취급 허용 * 규제지역 LTV 0 → 30% * 비규제지역 LTV 60% ● 다주택자의 규제지역 내 주택구입자금 신청 시 LTV 30% 적용합니다. 기존 LTV 0%에서 완화되었습니다. - 2년 이내 기존주택 처분조건 : LTV 50% - 기존주택 미처분 조건 : LTV 30% 임대·매매사업자에 대한 주택담보대출 허용 기존 : 주택 임대·매매사업자의 경우 모든 지역 주택담보대출 취급 금지 개선 : 주택 임대·매매사업자에 대한 주택담보대출 취급 허용 * 규제지역 LTV 0 → 30% * 비규제지역 LTV..

임대인과 임차인이란? 오늘은 너무나 쉬운 말이지만, 어쩌면 헷갈릴지 모르는 단어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너무나 많이 들어보셨죠! 임대인과 임차인 매도인과 매수인, 매도인은 어떠한 물건을 파는 사람, 매수인은 어떠한 물건을 사는 사람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임대인과 임차인은 무엇이고 그들의 의무와 권리는 무엇일까요? 임대인, 임차인이란? ● 임대인이란? 계약에 따라서 일정한 비용을 받고 상가나 주택, 토지 등을 타인에게 빌려주는 사람을 말합니다. ● 임차인이란? 임대인의 반대개념으로,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를 통해 주택이나 상가, 토지를 일정기간의 조건으로 빌려서 사용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쉽게말해 세입자라고도 부르며, 전세나 월세 등의 방법으로 비용을 지불하고 계약기간 동안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

2023년 보건·복지·교육 개정사항 (기초생활보장/긴급복지지원/생계지원금/장애수당/자립준비청년/부모급여/재난적 의료비/최저임금) 2023년, 새해에 개정되는 여러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그중에서도 보건/복지/교육 관련 부분입니다. 하나씩 체크해 보도록 할게요! :) 기초생활보장 급여 확대 및 재산기준 완화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액이 확대되고,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재산기준이 완화됩니다. ▶ 최대 생계급여액 : 154만 원 → 162만 원 (4인가족 기준) ▶ 재산기준 완화 - 35,000여 가구 생계급여 신규수령 가능 - 13,000여 가구 의료급여 신규수령 가능 긴급복지지원 생계지원금 단가 인상 경제적으로 취약한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긴급복지지원 생계지원금 단가를 인상합니다. *..

2023년 보육·가족 개정사항 (한부모가족/아이 돌봄 서비스/청소년부모/위기청소년/1인가구) 2023년, 새해에 개정되는 여러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그중에서도 보육/가족 관련 부분입니다. 하나씩 체크해 보도록 할게요! :) 한부모가족 복지급여 지원 대상 확대 복지급여 지급 소득기준을 기준중위소득 60%로 상향하여, 한부모가족의 자녀양육비 지원을 강화합니다. 신규 아동양육비 지급 대상 확대 : 3만 명 아동 양육비 지원 : 월 20만 원 **한부모가족 대상 기준중위소득 (60% 이하) 아이 돌봄 서비스 정부지원 확대 지원시간은 늘리고, 지원대상은 넓히는 보다 촘촘해진 아이돌봄 서비스! 구분 22년 23년 지원시간 연 840시간 (1일 3.5시간) 연 960시간 (1일 4시간) 지원가구 7만 5천..

2023년 세제·금융 개정사항 (근로/자녀장려금/연금계좌/퇴직소득세…) 2023년, 새해에 개정되는 여러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그중에서도 세제/금융 관련 부분입니다. 하나씩 체크해 보도록 할게요! :) 근로·자녀장려금 재산요건 완화 및 최대지급액 인상 저소득 가구의 근로를 장려하고 소득을 지원하기 위해 근로·자녀장려금의 재산요건을 완화하고 최대지급액을 인상합니다. 재산요건 : 2억원 미만 → 2억 4천만원 미만 최대지급액 : 10% 수준 이상 근로장려금 현행 개정 단독 150만원 165만원 홀벌이 260만원 285만원 맞벌이 300만원 330만원 자녀장려금 현행 개정 자녀 1명 당 70만원 80만원 연금계좌 세제혜택 확대 연금계좌 납입액에 대한 세액공제 한도를 200만원 상향합니다. 연금저축 ..

특례보금자리론 금리 0.5%p 인하 적용 기존에 발표되었던 특례보금자리론 기본 금리에서 0.5%p씩 인하하여 적용한다고 합니다. 특례보금자리론, 23년 1월 30일부터 신청 접수합니다. 특례보금자리론, 23년 1월 30일부터 신청 접수합니다. 23년 1월 30일 (월요일)부터 기존의 보금자리론에 일반형 안심전환대출과 적격대출을 통합한 특례보금자리론을 1년간 한시적으로 운영한다고 minisworld.tistory.com 23.01.11일 기준 구분 10년 15년 20년 30년 40년 50년 우대형 (주택 6억이하 & 부부소득 1억이하) 4.65% 4.75% 4.80% 4.85% 4.90% 4.95% 일반형 (주택 6억초과 or 부부소득 1억초과) 4.75% 4.85% 4.90% 4.95% 5.00% 5.0..

자주식 주차 장단점 / 기계식 주차 장단점 자주식 주차란? 평소에 많이 볼 수 있고, 이전부터 계속해서 사용해 왔던 주차방식입니다. 다만, 어떻게 칭하는지 몰라서 용어를 보더라도 무슨 말인가 싶으셨을 수 있는데, 저희들이 기본적으로 알고있는 주차장의 형태입니다. 운전자 본인이 직접적으로 차를 운전하여 주차라인에 맞춰서 주차하는 방법이며, 흔하게 주차장이라고 하면 보이는 곳이 이런 식으로 이루어져 있죠! 주로 대형마트, 쇼핑몰, 아파트 등과 같이 부지를 넓게 사용하는 곳에서부터 많이 활용하고 있는 방식입니다. 기계식 주차란? 부지의 확보가 좀처럼 쉽지 않을 때 주차타워를 세우게 되는데요, 말 그대로 기계를 이용해서 주차를 한다는 것입니다. 도심 한복판에서는 아무래도 주차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

전세계약기간이 2년인 이유는 무엇일까? 전세계약기간은 왜 2년으로 하는 걸까? 주택임대차보호법 4조를 보시면 ① 기간을 정하지 아니하거나 2년 미만으로 정한 임대차는 그 기간을 2년으로 본다. 다만, 임차인은 2년 미만으로 정한 기간이 유효함을 주장할 수 있다. ② 임대차기간이 끝난 경우에도 임차인이 보증금을 반환받을 때까지는 임대차관계가 존속되는 것으로 본다고 나와있습니다. 1항에 이 기간을 2년으로 본다는 내용이 있는데요, 임차인의 입장에서 2년 미만이라고 해도 정한 기간의 유효함을 주장할 수 있다고도 나와 있죠. 간단히 정리해 보면, 1년 계약을 하였더라도 1년 계약이 만료될 시점에 임차인은 2년 기간 보장을 주장할 수 있다는 겁니다. 또한, 꼭 2년 계약을 해야 된다는 건 아니고 1년 계약을 해도..

23년 특례보금자리론 궁금한 사항…특례보금자리론 10문 10답 특례보금자리론에 관심이 뜨거운 것 같은데요! 특례보금자리론에 대해 궁금한 사항들, 10가지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D 특례보금자리론, 23년 1월 30일부터 신청 접수합니다. 특례보금자리론, 23년 1월 30일부터 신청 접수합니다. 23년 1월 30일 (월요일)부터 기존의 보금자리론에 일반형 안심전환대출과 적격대출을 통합한 특례보금자리론을 1년간 한시적으로 운영한다고 minisworld.tistory.com Q1. 특례보금자리론은 어떤 정책금융 상품인가요? 특례보금자리론이란 금리상승기 서민·주택 실수요층이 이자상승 불안 없이 다양한 용도의 저금리 자금을 이용하도록 지원하는 정책금융 상품입니다. *대상 주택가격 9억 원 이하, 소득제한 없이 최대..

23년 연말정산 공제율/신용카드·월세·기부금 세액공제/연말정산 달라진 점 간소화 서비스·간편인증 확대 ● 기존 간편인증 (4) 카카오톡 통신사 PASS 삼성패스 국민은행 페이코 네이버 신한은행 ● 변경된 간편인증 (11) - 기존 7종에서 4종 추가 토스 하나은행 농협 뱅크샐러드 **올해 연말정산부터 보건복지부와 국가보훈처에서 수집한 장애인 증명자료를 간소화 자료로 제공합니다. 신용카드 사용액 공제 확대 ★재작년 대비 작년에 신용카드 사용액이 5% 넘게 증가한 경우★ 기존 공제율 10% → 바뀐 공제율 20% * 개정 세법에 따르면 작년 신용카드 사용액, 전통시장 사용액이 그 전해인 2021년보다 5% 넘게 증가한 경우, 100만원 한도에서 추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단, 신용카드 사용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