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임차등기
 - 임대차등기명령
 - DTI
 - 임대인
 - 임차권등기명령이란
 - 역전세
 - 확정일자받는법
 - 임차인등기명령
 - 전세보증금반환보증
 - 확정일자
 - 일시적1가구2주택
 - 임차권등기란
 - DSR
 - 임차권등기명령
 - 상속세율
 - 취득세
 - 농지매매
 - 깡통전세
 - 양도소득세
 - 양도세
 - 부모급여
 - 기준금리
 - 양도세계산기
 - 상속세
 - LTV
 - 전답매매
 - 특례보금자리론
 - 전입신고
 - 임차권등기명령뜻
 - 깡통전세전세금반환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통합고용세액 (1)
미니별 정보리뷰
2023년 세제·금융 개정사항 (근로/자녀장려금/연금계좌/퇴직소득세…) 2023년, 새해에 개정되는 여러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그중에서도 세제/금융 관련 부분입니다. 하나씩 체크해 보도록 할게요! :) 근로·자녀장려금 재산요건 완화 및 최대지급액 인상 저소득 가구의 근로를 장려하고 소득을 지원하기 위해 근로·자녀장려금의 재산요건을 완화하고 최대지급액을 인상합니다. 재산요건 : 2억원 미만 → 2억 4천만원 미만 최대지급액 : 10% 수준 이상 근로장려금 현행 개정 단독 150만원 165만원 홀벌이 260만원 285만원 맞벌이 300만원 330만원 자녀장려금 현행 개정 자녀 1명 당 70만원 80만원 연금계좌 세제혜택 확대 연금계좌 납입액에 대한 세액공제 한도를 200만원 상향합니다. 연금저축 ..
				정보/부동산정보
				
				2023. 2. 2. 15:06